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용어17

JAVA :: 자바 용어 정리(5) JAVA :: 자바 용어 정리(5) 상속 inheritance 상위(부모) 객체를 기반으로 하위(자식) 객체를 생성하는 관계를 말한다. 상위 객체는 자기가 가지고 있는 필드와 메소드를 하위 객체에게 물려주어 하위 객체가 사용 할 수 있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상위 객체는 종류를 의미하고, 하위 객체는 구체적인 사물에 해당한다. 자식 클래스를 선언할 때 어떤 부모 클래스를 상속받을 것인지 결정한다. • 부모(parent class, super class / 상위 클래스): 해당 클래스에 선언된 변수와 함수를 물려주는 클래스 • 자식(child class, sub class / 하위 클래스): 다른 클래스로부터 물려받고자하는 클래스 오버라이딩 overriding 부모에게서 상속받은 메소드의 내용이 자식 클래스.. 2023. 4. 19.
JAVA :: 자바 용어 정리(4) JAVA :: 자바 용어 정리(4) 객체 object 물리적으로 존재하거나 추상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것 중에서 자신의 속성을 가지고 있고 다른 것과 식별 가능한 것을 말함. ex) 자동차, 자전거, 책, 사람 / 학과, 강의, 주문 등... 인스턴스 instance 클래스로부터 만들어진 객체 ★TIP 인스턴스 멤버와 정적 멤버 인스턴스 멤버란 객체(인스턴스)를 생성한 후 사용할 수 있는 필드와 메소드를 말한다. 이들을 각각 인스턴스 필드, 인스턴스 메소드라고 부른다. 정적 멤버는 클래스에 고정된 멤버로서 객체를 생성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필드와 메소드를 말한다. 이들을 각각 정적 필드, 정적 메소드라고 부른다. 정적 멤버는 객체가 아닌 클래스에 소속된 멤버이기 때문에 클래스 멤버라고도 한다. 생성자.. 2023. 4. 18.
JAVA :: 자바 용어 정리(3) JAVA :: 자바 용어 정리(3) 연산자 operator : 연산에 사용되는 표시나 기호 피연산자 operand : 연산식에서 연산되는 데이터 부동 소수점 floating point : 소수점이 있는 실수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식. ‘부동’은 ‘떠다니다’의 의미, 소수점이 떠다닌다는 의미에서 부동 소수점이다. 이 방식에서는 최상위 비트를 부호로 결정한다. 최상위 비트가 0이면 양수, 1이면 음수를 뜻한다. 제어문 control statement : 실행 흐름을 개발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바꿀 수 있도록 해주는 것. •조건문: if문, switch 문 •반복문: for문, while문, do-while문 조건문 conditional statement : 특정 조건을 만족할 때 코드를 실행하는 문법 •if문:.. 2023. 4. 17.
JAVA :: 자바 용어 정리(2) JAVA :: 자바 용어 정리(2) 변수 variable : 하나의 값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의 공간. 프로그램에 의해서 수시로 값이 변동 될 수 있다. 하나의 변수에는 오로지 하나의 값만 저장할 수 있고, 자바에서는 선언 된 변수에 한 가지 종류의 값만 저장할 수 있다. 예약어 reserved word : 이미 해당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사용하기 위해 의미가 정해져 있는 것. 초기값 initial value : 변수를 선언하고 처음 저장하는 값 초기화 initialize : 변수에 초기값을 주는 행위 리터럴 litera : 소스 코드 내에서 직접 입력된 값 이스케이프 문자 escape character : 역슬래시(\) 기호가 붙은 특수한 문자 리터럴 유니코드 unicode : 세계 각국의 문자들을 코.. 2023. 4. 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