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anguage/JAVA

JAVA :: 자바 용어 정리(2)

by stern07s 2023. 4. 16.
728x90
반응형

JAVA :: 자바 용어 정리(2)

변수 variable

: 하나의 값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의 공간.

프로그램에 의해서 수시로 값이 변동 될 수 있다.

하나의 변수에는 오로지 하나의 값만 저장할 수 있고, 자바에서는 선언 된 변수에 한 가지 종류의 값만 저장할 수 있다.

 

예약어 reserved word

: 이미 해당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사용하기 위해 의미가 정해져 있는 것.

 

초기값 initial value

: 변수를 선언하고 처음 저장하는 값

 

초기화 initialize

: 변수에 초기값을 주는 행위

 

리터럴 litera

: 소스 코드 내에서 직접 입력된 값

 

이스케이프 문자 escape character

: 역슬래시(\) 기호가 붙은 특수한 문자 리터럴

유니코드 unicode

: 세계 각국의 문자들을 코드값으로 매핑한 국제 표준 규약이다.

유니코드는 하나의 문자에 대해 하나의 코드값을 부여하기 때문에 영문 ‘A’ 및 한글 ‘가’도 하나의 코드 값을 가진다.

자바는 모든 문자를 유니코드로 처리한다.

 

자료형 data type

: 자료의 형태. 자료형에 따라 컴퓨터가 어떻게 처리하는지 달라진다. 자바에서는기본 타입과 참조 타입으로 구분됨

 

기본 타입 primitive type

: 원시 타입이라고도 한다. 정수, 실수, 문자, 논리 리터럴을 저장하는 자료형

 

참조 타입 reference type

: 객체의 번지를 참조하는 타입. 배열, 열거, 클래스, 인터페이스 타입이 있다.

 
JAVA 에서 주로 물어보는 것

예약어를 식별자(변수명/메소드명/함수명)로 사용하면 안되는 걸까?

프로그래밍 언어 내에서 이미 문법적인 용도로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사용하면 안 된다. 자바에서 예약어를 식별자로 사용할 경우 컴파일러에서 에러 처리하여 실행되지 않는다.

 

상수와 리터럴

사실 리터럴은 상수와 같은 의미지만, 프로그램에서는 상수를 “값을 한 번 저장하면 변경할 수 없는 변수”로 정의하기 때문에 이와 구분하기 위해 “리터럴”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아스키(ASCII) 코드와 유니코드

유니코드는 영문자 외에 전 세계의 문자를 표현할 수 있도록 설계된 반면 아스키(ASCII: American Standard Code for Information Interchange, 미국 정보 교환 표준 부호) 코드는 7비트로 표현되는 영문자 기반 인코딩이다. 유니코드의 앞부분은 아스키 문자로 할당되어 있다.

 

값에 의한 호출call by value과 참조에 의한 호출call by reference

값에 의한 호출을 할 땐 메소드가 전달인자를 복사하여 사용하고, 메소드 실행이 종료되면 반환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전달인자를 직접 수정하는 것이 의미가 없다. 참조란 대상의 주소값을 통해 접근하는 것이고, 참조에 의한 호출은 메소드가 전달인자로 주소값을 넘겨받아 해당 위치에 있는 값에 접근하여 다른 곳에서 쓰일 수 있도록 수정할 수 있다. 자바에서는 무조건 call by value인 것이 아닌가 싶지만, 전달인자로 받은 데이터의 타입에 따라 그 값value이 주소값이 되기도 하고, 객

체가 가리키는 값이 되기도 한다.

 

반응형

'Language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 :: 자바 문법 정리(1)  (0) 2023.04.20
JAVA :: 자바 용어 정리(5)  (0) 2023.04.19
JAVA :: 자바 용어 정리(4)  (0) 2023.04.18
JAVA :: 자바 용어 정리(3)  (0) 2023.04.17
JAVA :: 자바 용어 정리(1)  (0) 2023.04.15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