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 :: 자바 용어 정리(3)
연산자 operator
: 연산에 사용되는 표시나 기호
피연산자 operand
: 연산식에서 연산되는 데이터
부동 소수점 floating point
: 소수점이 있는 실수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식.
‘부동’은 ‘떠다니다’의 의미, 소수점이 떠다닌다는 의미에서 부동 소수점이다.
이 방식에서는 최상위 비트를 부호로 결정한다.
최상위 비트가 0이면 양수, 1이면 음수를 뜻한다.

제어문 control statement
: 실행 흐름을 개발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바꿀 수 있도록 해주는 것.
•조건문: if문, switch 문
•반복문: for문, while문, do-while문
조건문 conditional statement
: 특정 조건을 만족할 때 코드를 실행하는 문법
•if문: 괄호 내의 조건식이 참이면 블록 내의 문장을 실행한다.
• else문: if문의 조건식이 거짓이면 블록 내의 문장을 실행한다. 필요 없으면 없어도 된다.
• else if문: if문의 조건식이 거짓일 때 실행시킬 코드에 추가 조건을 걸고 싶을 때 사용한다.
마찬가지로 필요 없으면 else if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if (a > 0)
//중괄호를 사용하지 않으면 조건식이 참일 때 한 줄만 실행
System.out.println("a는 양수입니다.");
else if (a == 0) {
System.out.println("a는 0입니다.");
} else {
System.out.println("a는 음수입니다.");
}
switch(ch) {
case 'a':
//이 케이스에서 break 문이 없기 때문에 블록을 빠져나가지 않고 다음 case 문으로 넘어간다
case 'b':
System.out.println("ch는 a 혹은 b입니다"); //a일 경우에도 출력된다.
break;
case 'c':
System.out.println("ch는 c입니다");
break;
default:
System.out.println("a도 b도 c도 아닙니다");
break; //이 break문을 적지 않아도 이 블록을 빠져나갈 수 있다.
}
루프 loop
: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동안 반복해서 실행하는 문법
•for문: 반복 횟수가 정해진 경우에 주로 사용
//for문 예시
for(int i = 0; i < n; i++)
//0부터 n-1까지 i를 증가시키며 코드 실행 (n회 반복)
•while문: 반복 횟수를 모를 때 주로 사용
//while문 예시
while(true) {
result *= 3;
if(result >= 100) //이 조건을 만족시켜야 반복문 종료
break;
}
• do-while문: 조건 만족 여부와 상관없이 코드를 먼저 실행하고, 그 다음 루프부터 조건을 검사
//do-while문 예시
do {
printf("어머 이건 꼭 출력 되어야 해...! ");
} while(false); //1회만 출력
무한 루프 infinite loop
: 무한히 반복을 하고 싶거나 정해진 횟수 없이 일정한 조건을 충족하면 빠져나오게 하고 싶을 때 사용하는 것.
//for문을 사용한 무한 루프
for(;;) {
//반복하고 싶은 코드
}
//while문을 사용한 무한 루프
while(true){
//반복하고 싶은 코드
}
쓰레기 수집기 garbage collector
: 쓰레기 수집은 메모리 관리 기법 중 하나이다. 자바에선 JVM의 쓰레기 수집기를
이용해 자동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객체를 메모리에서 제거한다.
null
: 참조 타입 변수가 객체를 참조하지 않는다는 의미의 값.
‘널’이라고 읽는다.
null값도 초기값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null로 초기화된 참조 변수는 스택 영역에 저장된다.
배열 array
: 데이터를 연속된 공간에 나열하고, 각 데이터에 인덱스를 부여해 놓은 자료구조

인덱스 index
: 0에서부터 “문자열(혹은 배열) 길이-1”까지의 번호를 매긴 것.
배열과 같은 선형 자료구조는 인덱스로 원소에 접근할 수 있다.
열거 타입 enumeration type
: 한정된 값만을 갖는 자료형
enum Week {
SUNDAY, MONDAY, TUESDAY, WEDNESDAY, THURSDAY, FRIDAY, SATURDAY
}
JAVA 에서 주로 물어보는 것
객체를 제거하기 전 수행하고 싶은 일이 있을 때
쓰레기 수집기가 객체를 제거하기 전에 중요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싶을 때, 클래스 내에 객체 소멸
자(finalize())를 재정의하여 객체가 소멸될 때 실행할 코드를 입력할 수 있다.
'Language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 :: 자바 문법 정리(1) (0) | 2023.04.20 |
---|---|
JAVA :: 자바 용어 정리(5) (0) | 2023.04.19 |
JAVA :: 자바 용어 정리(4) (0) | 2023.04.18 |
JAVA :: 자바 용어 정리(2) (0) | 2023.04.16 |
JAVA :: 자바 용어 정리(1) (0) | 2023.04.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