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프로그래밍36

JAVA :: 자바 문법 정리(13) JAVA :: 자바 문법 정리(13) 메서드에 예외 선언하기 예외를 처리하는 방법에는 try-catch 문을 사용하는 것 외에, 예외를 메서드에 선언하는 방법이 있다. 메서드에 예외를 선언하려면, 메서드의 선언부에 키워드 throws 를 사용해서 메서드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예외를 적어주기만 하면 된다. (예외를 발생시키는 키워드 throw 와 예외를 메서드에 선언할 때 쓰이는 throws 를 구별해야 한다.) 메서드에 예외를 선언할 때 일반적으로 RuntimeException 클래스들은 적지 않는다. 예외를 메서드의 throws 에 명시하는 것은 예외를 처리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예외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메서드)을 호출한 메서드에게 예외를 전달하여 예외처리를 떠맡기는 것이다. 예외를 전달받은 메.. 2023. 5. 2.
JAVA :: 자바 문법 정리(12) JAVA :: 자바 문법 정리(12) printStackTrace()와 getMessage() 예외가 발생했을 때 생성되는 예외 클래스의 인스턴스에는 발생한 예외에 대한 정보가 담겨져 있으며, getMessage()와 printStackTrace()를 통해서 이 정보들을 얻을 수 있다. ✔️printStackTrace() - 예외발생 당시의 호출스택(Call Stack)에 있었던 메서드의 정보와 예외 메시지를 화면에 출력한다. ✔️getMessage() - 발생한 예외클래스의 인스턴스에 저장된 메시지를 얻을 수 있다. printStackTrace(PrintStream s) 또는 printStackTrace(PrintWriter s)를 사용하면 발생한 예외에 대한 정보를 파일에 저장할 수도 있다. 멀티 c.. 2023. 5. 1.
JAVA :: 자바 문법 정리(11) JAVA :: 자바 문법 정리(11) 예외처리 프로그램이 실행 중 어떤 원인에 의해서 오작동을 하거나 비정상적으로 종료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결과를 초래하는 원인을 프로그램 에러 또는 오류라고 한다. 이를 발생시점에 따라 컴파일 에러와 런타임 에러로 나눌 수 있다. ✔️컴파일 에러 - 컴파일 시에 발생하는 에러 ✔️런타임 에러 - 실행 시에 발생하는 에러 ✔️논리적 에러 - 실행은 되지만, 의도와 다르게 동작하는 것 컴파일은 잘되었어도 실행 중에 에러에 의해서 잘못된 결과를 얻거나 프로그램이 비정상적으로 종료될 수 있다. 자바에서는 실행 시(runtime) 발생할 수 있는 프로그램 오류를 에러(error)와 예외(exception) 두 가지로 구분하였다. 에러는 메모리 부족(OutOfMemoryErr.. 2023. 4. 30.
JAVA :: 자바 문법 정리(10) JAVA :: 자바 문법 정리(10) 내부 클래스의 종류와 특징 내부 클래스의 종류는 변수의 선언위치에 따른 종류와 같다. 내부 클래스는 마치 변수를 선언하는 것과 같은 위치에 선언할 수 있으며, 변수의 선언위치에 따라 인스턴스변수, 클래스변수(static 변수), 지역변수로 구분되는 것과 같이 내부 클래스도 선언위치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 ✔️ 인스턴스 클래스 (instance class) 외부 클래스의 멤버변수 선언위치에 선언하며, 외부 클래스의 인스턴스 멤버처럼 다루어 진다. 주로 외부 클래스의 인스턴스멤버들과 관련된 작업에 사용될 목적으로 선언된다. ✔️ 스태틱 클래스 (static class) 외부 클래스의 멤버변수 선언위치에 선언하며, 외부 클래스의 static 멤버처럼 다루어진다. 주.. 2023. 4. 2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