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anguage/Python

Python :: 파이썬 용어 정리(2)

by stern07s 2023. 3. 28.
728x90
반응형

Python :: 파이썬 용어 정리(2)

 

키워드 keyword

의미가 부여된 특별한 단어.

언어 내에서 문법적인 용도로 사용되고 있는 단어.

사용자가 지정하는 이름에는 사용 불가.

 

식별자 identifier

함수나 변수의 이름을 붙일 때 사용하는 단어.

식별자를 만들 때는 특별한 규칙을 따라야 한다.

• 스네이크 케이스(snake_case): 단어 사이에 _ 기호를 붙여 만든 식별자.

phone_number = "010-XXXX-XXXX"
 

• 캐멀 케이스(CamelCase): 단어들의 첫 글자를 대문자로 만든 식별자. 클래스 식별자를 만들 때 사용.

class WorldMap:
pass
 

• 파스칼 케이스: 캐멀 케이스 중에서 첫 번째 글자가 대문자인 것.

Class Person:
pass
 
변수 variable

값을 저장할 때 사용하는 식별자.

이름은 ‘변수’이지만 숫자뿐만 아니라 모든 자료형을 저장할 수 있다.

• 선언: 변수를 사용하려면 식별자는 무엇이고, 어떤 데이터를 가진다라는 것을 알려줘야 하는데, 이는 변수를 ‘선언한다’라고 한다.

• 할당: 변수에 값을 넣는 것을 ‘할당한다’라고 한다. *할당 : 메모리에 변수의 값이 들어갈 공간을 할당해야 하므로

• 참조: 변수에 접근하는 것을 ‘참조한다’라고 한다. *접근 : 결국 변수가 저장된 메모리에 접근하는 것인데, 이 메모리의 ‘주소’를 참조

함수 function

코드의 집합.

식별자 뒤에 괄호가 붙어 있으면 해당 식별자는 함수.

• 함수 호출: 함수를 사용하는 것. 함수를 호출할 때는 괄호 내부에 여러 가지 자료를 넣게 되는데, 이러한 자료를 ‘매개변수’라 하고, 함수를 호출해서 최종적으로 나오는 결과를 ‘리턴값’이라고 한다.

• 함수 선언(정의): 함수가 어떤 매개변수를 받아 어떤 동작을 하고 어떤 값을 반환할지 기술하는 것.

def func(mylist):
return sum(mylist)
number = [1, 2, 3]
print(func(number)) #출력: 6
 
주석 comment

프로그램 실행에는 영향이 없으며, 코드에 설명을 붙이기 위해서 사용하는 것.

연산자 operator

연산에 사용되는 표시나 기호.

• 연산자 우선순위: 파이썬의 연산자 우선순위는 알고 있는 것처럼 곱셈과 나눗셈이 덧셈과 뺄셈보다 우선하고, 우선순위가 같을 때는 왼쪽에서 오른쪽 순서로, 우선순위를 무시하고 무조건 먼저 연산하고 싶은 게 있다면 괄호로 감싸준다.

• 사칙 연산자, // 연산자, 나머지 연산자, 제곱 연산자, 대입 연산자, 복합 대입 연산자

리터럴 literal

소스 코드 내에서 직접 입력된 값.

자료(data)라고도 한다.

 

★TIP 상수와 리터럴

사실 리터럴은 상수와 같은 의미지만, 프로그램에서는 상수를 ‘값을 한 번 저장하면 변경할 수 없

는 변수’로 정의하기 때문에 이와 구분하기 위해 ‘리터럴’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자료형 data type

자료의 형태.

자료형에 따라 컴퓨터가 처리하는 방법이 달라진다.

파이썬의 기본 자료형

• 숫자: 소수점이 없는 정수형과 소수점이 있는 실수형으로 구분.

사칙 연산자(+, -, *, /)와 정수 나누기 연산자(//), 나머지 연산자(%), 제곱 연산자(**) 사용

• 문자열: 문자의 나열. 큰따옴표 혹은 작은따옴표로 입력.

문자열 연결 연산자(+), 문자열 반복 연산자(*), 문자열 선택 연산자([ ]), 문자열 범위 선택 연산자([:]) 사용

• 불: True와 False를 나타내는 값. 반드시 첫 글자는 대문자.

이스케이프 문자 escape character

\(백슬래시) 기호가 붙은 특수한 문자 리터럴. 문자열 내부에서 특수한 기능을 수행.

인덱스 index

리스트, 문자열과 같은 자료형에서 자료가 메모리에 저장된 순서대로 매겨진 번호.

리스트 내부에서 값의 위치를 의미.

• 제로 인덱스: 숫자를 0부터 세는 인덱스. 파이썬은 제로 인덱스 사용.

• 원 인덱스: 숫자를 1부터 세는 인덱스.

mylist = [1, 2, 3]
print(mylist[0]) # 출력: 1
 
부동 소수점 floating point

소수점이 있는 실수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식.

‘부동’은 ‘떠다니다’의 의미, 소수점이 떠다닌다는 의미에서 부동 소수점이라고 함.

이 방식에서는 최상위 비트(MSB: Most Significant Bit)를 부호로 결정.

최상위 비트가 0이면 양수, 1이면 음수.

캐스트 cast

어떤 자료형을 다른 자료형으로 바꾸는 것.

특히 input( ) 함수의 입력 자료형은 항상 문자열이기 때문에 입력받은 문자열을 숫자로 변환해야 숫자 연산에 활용 가능.

# input 값으로 들어오는 문자열 형태의 숫자를 정수형으로 변환
n = int(input())
 
조건문 conditional statement

조건에 따라 코드를 실행하거나 실행하지 않게 만들고(실행 흐름을 바꾸고) 싶을 때 사용하는 구문.

실행 흐름을 바꾸는 것.→조건분기

• if문: 괄호 내의 조건식이 참이면 블록 내의 문장을 실행.

• else문: if문의 조건식이 거짓이면 블록 내의 문장을 실행. 필요 없으면 안 써도 됨.

• else if문: if문의 조건식이 거짓일 때 실행시킬 코드에 추가 조건을 걸고 싶은 경우에 사용. 마찬가지로 필요 없으면 else if를 사용하지 않아도 됨.

 
들여쓰기 indent

코드 앞에 사용하는 ‘띄어쓰기 4번’, ‘띄어쓰기 2번’, ‘탭’과 같은 것을 의미.

파이썬 개발에서는 일반적으로 ‘띄어쓰기 4번’을 많이 사용.

 

★TIP 소프트 탭

Tab 키를 누르면 자동으로 띄어쓰기 네 개를 넣어 주는 기능

 

비교 연산자 comparison operators

불을 만드는 연산자.

숫자의 크기 비교나 문자열을 비교.

 

논리 연산자 logical operators

비교 연산자로 만들어진 불끼리 연산할 수 있는 연산자.

• not: 불을 반대로 전환. True는 False로, False는 True로.

• and: 피연산자 두 개가 모두 참일 때 True를 출력하며, 나머지의 경우는 모두 False를 출력.

• or: 피연산자 두 개 중에 하나만 참이라도 True를 출력하며, 두 개가 모두 거짓일 때만 False를 출력.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