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anguage/C언어

C언어 :: C언어 용어 정리(1)

by stern07s 2023. 1. 11.
728x90
반응형

C언어 :: C언어 용어 정리(1)

C언어 :: C언어 용어 정리(1)

소스 파일 source file

프로그래밍 언어의 문법에 맞게 작성한 문서 파일.

여기서는 C 언어의 문법에 맞게 작성한 문서 파일을 말한다.

 

소스 코드 source code

= 코드. 프로그래밍 언어의 문법에 맞게 작성한 글.

 

컴파일 compile

소스 파일을 컴퓨터가 이해하는 기계어로 바꾸는 과정

비주얼 스튜디오 Visual Studio

소스 코드를 편집하고 컴파일할 수 있게 도와주는 프로그램. C 언어를 컴파일할 때는 VC++ 컴파일러를 사용하는데, 반드시 파일의 확장자를 .c로 적어야 C 언어의 문법에 맞게 컴파일한다. 비주얼 스튜디오는 자동완성 기능과 문법 검사 기능, VC++ 컴파일러를 이용해 컴파일하거나 디버깅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디버깅 debugging

에러를 수정하는 것

 

main 함수 main function

코드 실행이 제일 처음 시작되고 제일 마지막으로 끝나는 곳. 줄여서 ‘main’ 또는 ‘메인’이라고도 한다.

변환 문자

출력 시 데이터의 형태에 따라 변숫값을 텍스트로 바꾸어주거나, 입력 시 텍스트를 알맞은 변숫값으로 바꾸어주는 문자

정규화 normalization

소수점 앞에 0이 아닌 한 자리만을 사용하여 지수 형태로 바꾸는 것

아스키 코드 ASCII code

사람이 사용하는 기호를 컴퓨터 안에서 표현하는 방법에 대해 약속한 것

 

주석문 comment

실행 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문장. 소스 코드를 설명하는 내용을 담게 된다.

• // : //부터 해당 줄의 끝까지 주석 처리

• /* ~ */ : /*과 */ 사이의 모든 내용 주석 처리

 

printf 함수

화면에 데이터를 출력하는 함수. print formatted의 약어. 변환 문자를 사용해서 변수에 맞는 자료형을 알려준다.

 

제어 문자 control character

문자는 아니지만, 출력 방식에 영향을 주는 문자.

\n, \t 등등

 

상수 constant

값을 한 번 정하면 프고르램이 끝날 때까지 변하지 않는 변수. 원주율 값처럼 값이 정해져 있고 변하면 안되는 경우에 주로 사용한다.

 

비트 bit

컴퓨터 저장장치의 가장 작은 단위. 스위치와 같이 두 가지 상태를 나타낸것.

1(혹은 true)과 0(혹은 false)으로 나타낸다.

 

바이트 byte

컴퓨터 저장장치의 단위. 1바이트는 8비트. 16진수를 사용하는 이유는 4비트 단위로 이진수 값을 표현하기 위해서이다.

반응형

'Language > C언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C언어 :: C언어 용어 정리(6)  (0) 2023.01.16
C언어 :: C언어 용어 정리(5)  (0) 2023.01.15
C언어 :: C언어 용어 정리(4)  (0) 2023.01.14
C언어 :: C언어 용어 정리(3)  (0) 2023.01.13
C언어 :: C언어 용어 정리(2)  (0) 2023.01.12

댓글